본문 바로가기

Devil is in the details/2030

[커버스토리-밥그릇이 부른 세대갈등] 내신 1%도 기간제 교사.. 취업문 거의 닫혀.. 결혼도 생존게임 내몰려

[커버스토리-밥그릇이 부른 세대갈등] 내신 1%도 기간제 교사.. 취업문 거의 닫혀.. 결혼도 생존게임 내몰려

스펙 쌓기 바빠 3포 세대로 밀려난 2030 속마음 들여다보니서울신문 | 입력 2013.10.12 02:52


[서울신문]"옛날이 좋았지. 내가 입사했을 땐 말이야, '양폭'(양주와 맥주를 섞은 폭탄주)만 마셨어. 그래도 우리 때에는 낭만이란 게 있었는데, 요즘 친구들은 참…."회사원 우모(27·여)씨는 관리자급 회사 상사들이 그들의 화려했던 '옛이야기'를 하면 빈정이 상한다고 했다. 우씨는 11일 "그 분들 나름대로의 고충이란 게 있겠지만 솔직히 비슷한 '스펙'으로 우리보다 훨씬 많은 것을 쟁취할 수 있었던 세대"라면서 "지금은 피 터지는 경쟁에 살아 남더라도 '나만의 공간'(집) 조차 마련하기 힘든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2030 세대'는 '5060 세대'가 만들어놓은 황금기에서 스스로를 '밀려난 세대'라고 말한다. 2030 세대가 바로 설 자리가 없다는 자괴감에서 나온 얘기다. 희망을 잃은 '3포 세대'(취업·결혼·출산을 포기한 세대)'의 속마음을 들여다봤다.

5년차 '임고생'(교원임용 고사 준비생) 차모(26·여)씨는 고등학교 때까지 이른바 '전교'에서 놀았다. 반 1등은 고정이고, 전교에서 3등 안에 들었다.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진학도 충분했지만 교사가 되는 게 꿈이었기에 물가와 학비가 비싼 서울보다 고향 근처에 있는 지방 국립대를 택했다. 그는 내신점수 상위 1%로 수시에 합격한 '지방 인재'였다. 차씨는 "입학 때부터 임용 시험이 쉽지 않다는 얘기가 나오기 시작했지만 나만 착실히 공부하면 충분히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차씨가 졸업하던 해 임용 고사의 전공과목 지역모집 인원은 10명으로 뚝 떨어졌다. 졸업 동기만 33명이었고, 이미 재수·삼수 선배까지 있어 경쟁률이 30대 1을 웃돌았다. 차씨는 "처음 3년은 임고에만 올인했다"면서 "이제는 졸업한 지도 오래돼 다른 걸 해볼 엄두조차 못 낸다"며 말끝을 흐렸다.

차씨는 현재 지역 사립 고등학교에서 기간제 교사를 하고 있다. 그는 "공부만 하다가 사람도 만나고 돈도 버니까 즐겁다"면서도 "운이 좋으면 기간을 연장해 계속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선생님처럼 무기계약직 신세가 될까봐 답답하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교직원 구성원을 보면 나이 많은 선생님들이 정규직, 젊은 선생님은 비정규직으로 양분된 꼴"이라면서 "처음에는 나이가 많고 때때로 무능력한 정규직 선생님들을 보면 우리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 같아 화가 났었다"고 토로했다.

회사원 이모(31)씨는 집 문제 때문에 결혼을 미뤘다. "서울 잠실에서 신혼집을 시작했으면 좋겠다"는 예비 장모님의 한마디가 컸다. 이씨는 "부모님의 도움 없이 직장에서 받는 연봉으로는 한 푼도 안 쓰고 십년을 모아도 서울에 그럴듯한 전셋집을 구하는 것도 어려운게 현실"이라면서 "집 문제 때문에 여자친구와 헤어질 뻔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고 하소연했다.

이씨의 연봉은 3500만원. 대기업 3년차 사원인 이씨는 월급의 절반 이상을 모으고 있지만 "(부모님 집에서) 독립은커녕 돈도 없는데 집을 준비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크다"고 털어놨다. 결혼을 앞둔 또래 친구들도 "작은 결혼식이 유행이라지만 부모 도움 없이 서울에서 살기란 하늘의 별따기"라고 푸념을 늘어놓는다.

이씨는 대학 입시와 취업에 이어 결혼도 '서바이벌 게임'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이씨는 첫 수능을 망쳤고, 재수 끝에 서울의 4년제 대학에 턱걸이로 입학했다. 입학 후에도 경쟁은 끝나지 않았다. 학점과 스펙 쌓기에 열정을 다했지만 이씨는 졸업 후 2년간 취업 전쟁을 치러야 했다. 그는 "우리 세대는 전셋값 상승으로 경제적 자립은 물론 신혼집 장만도 쉽지 않다"면서 "1980년대 초만해도 방 한 칸 월세로 신혼 살림을 시작했다는 부모님 세대가 많지만 지금은 그런 사람에게 누가 시집을 오겠느냐"고 반문했다.

서울의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모(26·여)씨는 중소회사의 계약직 사원이다. 연봉은 대략 2400만원 . 이씨는 야근을 밥 먹듯이 하지만 각종 세금과 식대, 차비를 빼면 저축은커녕 생활비도 빠듯하다고 했다. 때문에 이씨의 부모님은 지금이라도 일을 그만두고 공무원 시험을 보라고 권유한다. 이씨는 가끔 멀쩡한 대학에 스펙도 나쁘지 않은 자신이 왜 '낙오자' 취급을 받는지 모르겠다고 답답해했다.

이씨의 토익점수는 920점. 그는 계약직이지만 번역 업무부터 회사의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씨는 "치열한 경쟁을 뚫고 온 삶인데도 윗사람들로부터 '요즘 젊은이들은 패기가 없다'는 소리를 듣곤 한다"면서 "그럴 때마다 '철밥통을 꿰차고 앉아 왜 일도 제대로 하지 않느냐'고 반문하고 싶다"고 꼬집었다.

이씨는 요즘도 토익 시험을 보고 있다. 그는 "그 분들은 왜 우리가 자격증에, 토익 점수에 목을 매는지 모를 거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윤모(26)씨는 지난해까지 공기업 취업을 준비하다가 올해 로스쿨로 진로를 틀었다. 대학을 졸업하고 나면 사실상 취직문이 거의 닫힌 것이나 다름없다고 생각해서다. 현재 집에서 독립해 자취를 하는 윤씨는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하며 생활하고 있다.

윤씨는 "같은 도시에 부모님이 살고 계시지만 서로 스트레스를 줄까봐 잘 가지 않는다"면서 "하루 빨리 좋은 소식을 들고 달려가고 싶다"고 밝혔다. 윤씨는 "부모님이 '노력하면 된다'고 말할 때가 제일 답답하다"고 하소연했다. 윤씨도 1학년 때부터 학점과 취업에 필요한 각종 스펙을 착실히 준비하고 과대표 등 대학 생활도 열심히 했지만 취업이 쉽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윤씨는 이런 상황이 세대 갈등을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신융아 기자yashin@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31012025249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