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il is in the details/2030

[깊어가는 취업 그늘] 청년 체감실업률 23% 20대 32%는 비정규직.. 정규직과 임금차 확대

[깊어가는 취업 그늘] 청년 체감실업률 23% 20대 32%는 비정규직.. 정규직과 임금차 확대

파이낸셜뉴스 | 입력 2015.04.12 17:24 | 수정 2015.04.12 21:53


30·40대보다 비정규직 비중 월등히 높아
고졸 청년·대졸 여성 상당수 취업 어려워
청년시절 임금격차 자산 형성 불평등 초래

'눈높이를 낮춰라.'

심각해진 청년실업이 나올 때마다 이른바 해결책 또는 대안으로 자주 거론되는 말이다.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등 대기업 정규직이나 공무원에 목매지 말고 일단 취직해서 일해보라는 것. 안타깝게도 이 같은 말은 오늘날의 현실을 사는 청년들에게는 지극히 비현실적이다.

청년들이 체감하는 실업률이 공식 실업률에 비해 두 배가 넘는다는 통계에서 보듯 취업 자체가 어렵다.



더구나 비정규직 임금은 중소기업, 대기업 가릴 것 없이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 청년시절부터 벌어지는 이 같은 임금격차는 향후 자산 형성 과정에서 심각한 불평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청년이 느끼는 실업 수준은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의 지난 2월 공식 실업률은 11.1%다. 지난해 11월의 경우 7.9%였던 것이 12월을 지나 올해 1월로 넘어오면서 9% 수준으로 올라섰고, 2월에는 두자릿수가 된 것이다.

청년층에서 더욱 심각성을 보이는 쪽은 20대 취업이다.

특히 20~24세 연령층은 지난 2월 실업률이 13.9%에 이른다. 고졸 청년이나 대졸 여성들 상당수가 졸업 후 제대로 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25~29세 연령층의 경우 실업률이 9.1%로 상대적으로 낮지만 전체 실업률 4.6%에 비해서는 두 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이는 어디까지나 공식 실업률이다. 이른바 체감실업률로 불리는 '고용보조지표3'을 보면 청년층의 실업률은 더욱 크게 늘어난다. 고용보조지표3은 실업자에 추가취업가능자와 잠재취업가능자, 잠재구직자를 포함시킨 수치다.

지난 1월 청년층의 체감실업률은 21.8%였고 지난 2월 22.9%로 1.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청년층 공식 실업률 11.1%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청년층, 격차 더욱 커진다

일자리가 없어지면서 청년들이 눈높이를 낮춰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사례가 최근 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청년층 내에서 소득에 따른 심각한 격차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20대 청년들 가운데 비정규직은 109만명에 이른다. 이는 전체 20대 임금근로자의 약 32%에 달하는 수준이다. 30대와 40대 연령층의 비정규직 비중이 각각 21.8%, 26.6%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크게 높다.

이미 청년세대들은 대기업 정규직과 공무원에 목매지 않고 비정규직이라도 직장을 찾아가는 분위기가 있는 것. 문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 격차다. 지난 2013년 기준 정규직의 월급여액은 29세 이하의 경우 192만4000원이다. 반면 비정규직의 급여는 108만2000원에 불과하다. 동일노동을 해도 동일한 임금을 받지 못하다 보니 비정규직의 급여가 정규직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더구나 고용안정성도 떨어져 이 같은 급여를 계속 받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서는 좋은 직장과 나쁜 직장, 어느 쪽으로 사회 첫발을 내딛느냐에 따라 자산형성에서 극심한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가령 매달 30만원씩을 학자금 대출 상환에 쓰고 월세 50만원짜리 집에 살고 있는 청년 정규직 취업자와 비정규직 취업자가 있다고 하자. 정규직 청년은 매달 80만원을 지출하고도 112만4000원의 여유자금이 있다. 반면 비정규직 청년의 여윳돈은 28만2000원에 불과하다. 정규직 청년은 매달 돈을 모을 가능성이 있지만 비정규직 청년은 사실상 학자금 대출을 모두 상환할 때까지 자산 형성이 불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청년들을 중소기업에 보내려면 중소기업들이 직원의 자기계발과 직무 전문성 제고 등이 가능하도록 역량을 키워 중소기업을 선택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 같은 개선 없이 청년의 눈높이를 지적하는 것은 문제를 종합적으로 보지 못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조 교수는 "청년의 중소기업 기피나 임금 축소 등은 향후 사회적 문제로도 비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http://media.daum.net/economic/industry/newsview?newsid=20150412172429160